Festool TKS 80 EBS Original Instructions Manual page 9

Bench-mounted circular saw
Hide thumbs Also See for TKS 80 EBS:
Table of Contents

Advertisement

한국어
폭이 넓은 가공물은 톱 테이블 가장자리가
기울어져 제어력을 잃고 톱날이 끼이거나 킥
백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공물은 균일하게 이동시키십시오. 가공물
을 구부리거나 비틀지 마십시오. 톱날이 걸
리면, 공구를 즉시 끄고 전원 플러그를 뽑은
후 톱날이 걸린 원인을 제거하십시오. 가공
물에 의해 톱날이 걸린 견우 킥백이 발생하
거나 모터 작동이 차단될 수 있습니다.
톱날이 아직 작동 중일 때 작업한 소재를 제
거하지 마십시오. 작업한 소재가 톱날과 스
톱 레일 사이 또는 보호 덮개에 박혀 있어 제
거할 때 손가락이 톱날에 말려 들어갈 수 있
습니다. 소재를 제거하기 전에 톱의 전원을
끄고 톱날이 정지할 때까지 기다리십시오.
두께가 2 mm 미만인 가공물에 립 컷 작업을
하려면 테이블 표면에 닿아 있는 보조 립 펜
스를 사용하십시오. 두께가 얇은 가공물은
립 펜스 아래에 박혀 킥백을 유발할 수 있습
니다.
3) 킥백 - 발생 원인과 해당 안전 지침
킥백 현상은 톱날이 걸리거나 끼이거나 가공물에
비스듬하게 놓이거나 또는 가공물의 일부가 톱날
과 립 펜스 또는 고정된 다른 물체 사이에 끼었을
때 톱이 갑자기 반동하는 현상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킥백이 발생하면 톱날의 뒷부분이
가공물에서 벗어나 톱 테이블에서 들리고 작업자
를 향하게 됩니다.
테이블 쏘를 잘못 사용하면 킥백이 발생할 수 있
으며, 아래의 방법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톱날과 일직선 상에 있지
마십시오. 톱날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자리
를 잡으십시오. 각 측면에 스톱 레일이 위치
해 있기도 합니다. 킥백이 발생하면 가공물
이 빠른 속도로 톱날과 일직선상에 위치한
작업자를 향해 날라갈 수 있습니다.
가공물을 빼내거나 받치기 위해 톱날 위쪽이
나 뒤쪽을 잡는 일이 절대 없도록 하십시오.
실수로 톱날에 닿거나 킥백이 발생하면 손가
락이 톱날에 말려 들어갈 수 있습니다.
절단 작업 중인 가공물은 절대 톱날이 회전
하는 반대 방향으로 잡거나 누르지 마십시
오. 절단 작업 중인 가공물을 톱날 반대 방향
으로 누르면 걸리거나 킥백이 발생합니다.
스톱 레일은 톱날과 나란하게 정렬하십시오.
스톱 레일을 정렬하지 않으면 가공물이 톱날
반대쪽으로 눌려 킥백이 발생합니다.
가려진 곳에서 작업(예: 리베이트, 홈파기 또
는 가로 홈 작업 또는 자재 취급 시 분리 작
업)할 경우 스러스트 칼라를 사용하여 가공
물을 테이블과 스톱 레일 반대쪽으로 이동시
키십시오. 스러스트 칼라를 이용하여 킥백
발생 시 가공물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10
결합된 곳이 눈에 보이지 않는 가공물을 톱
작업할 때에는 특히 신경 써서 작업하십시
오. 플런지 컷 톱날이 킥백을 유발할 수 있는
물체를 절단할 수 있습니다.
톱날 걸림으로 인해 킥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큰 패널에 지지대를 설치하십시오. 대형 패
널은 자체 중량 때문에 아래로 처지는 경향
이 있습니다. 테이블 표면을 벗어난 패널 곳
곳에 지지대를 설치하십시오.
비틀리거나, 얽혀 있거나, 변형된 가공물 또
는 엣지가 곧지 않아 마이터 컷 스토퍼를 이
용하거나 스톱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야 하는
가공물을 절단할 때에는 특히 조심스럽게 작
업하십시오. 비틀리거나, 얽혀 있거나, 변형
된 가공물은 불안정하여 톱날로 켠 자국이
잘못되거나 톱날이 걸리고 킥백이 발생합니
다.
절대 위아래 또는 앞뒤에 여러 겹으로 쌓여
있는 가공물을 절단하지 마십시오. 톱날의
일부가 걸려 킥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톱날이 가공물에 끼인 톱으로 다시 작업하고
자 하는 경우, 톱 간극에 있는 톱날의 중심을
맞춰 톱니가 가공물에 끼어 있지 않게 하십
시오. 톱날이 끼여 있으면, 톱 작업을 다시 시
작할 때 가공물이 들어 올려져 킥백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톱날은 날카롭고 청결하며 충분히 비스듬한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변형된 톱날이나 금이
간 톱날 또는 톱니가 파손된 톱날은 절대 사
용하지 마십시오. 예리하고 적당히 경사를
이루고 있는 톱날은 톱날 걸림, 고착 및 킥백
을 최소화시켜 줍니다.
4) 테이블 쏘 작동 관련 안전 지침
테이블 인서트 제거, 톱날 교체, 스페이서 웨
지 또는 톱날 보호 덮개 조절을 하기 전에 그
리고 공구를 무감독 상태로 둘 경우에는 테
이블 쏘의 전원을 끄고 전원부를 분리하십시
오. 예방 조치를 통해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
다.
테이블 쏘가 돌발적으로 작동되는 일이 없게
하십시오. 공구의 전원을 끄고 공구가 작동
을 멈추기 전까지 절대 자리를 떠나지 마십
시오. 톱이 돌발적으로 작동하면 무감독 상
태에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평평하고 조명이 잘 드는 곳, 안전한 자세로
무게 중심을 잘 유지할 수 있는 곳에 테이블
쏘를 설치하십시오. 설치 장소의 공간이 충
분히 넓어야 가공물을 온전하게 취급할 수
있습니다. 정리정돈 상태가 불량하거나 조명
이 어두운 작업장 및 평평하지 않고 미끄러
운 바닥에서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톱 테이블 그리고/또는 집진기에 있는 거스
러미 및 톱밥을 정기적으로 제거해주십시오.
수거된 톱밥은 가연성이라 자발적으로 발화
할 수 있습니다.

Hide quick links:

Advertisement

Table of Contents
loading

This manual is also suitable for:

575788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