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sch 0 601 6A9 020 Original Instructions Manual page 47

Table of Contents

Advertisement

Available languages
  • EN

Available languages

  • ENGLISH, page 1
운반할 때 전원 스위치에 손가락을 대거나 전원 스
위치가 켜진 상태에서 전원을 연결하면 사고 위험
이 높습니다.
전동공구를 사용하기 전에 조절하는 툴이나 키 등
u
을 빼 놓으십시오. 회전하는 부위에 있는 툴이나 키
로 인해 상처를 입을 수 있습니다.
자신을 과신하지 마십시오. 불안정한 자세를 피하
u
고 항상 평형을 이룬 상태로 작업하십시오 . 안정된
자세와 평형한 상태로 작업해야만이 의외의 상황
에서도 전동공구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알맞은 작업복을 입으십시오. 헐렁한 복장을 하거
u
나 장신구를 착용하지 마십시오. 머리나 옷이 가동
하는 기기 부위에 가까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십시
오. 헐렁한 복장, 장신구 혹은 긴 머리는 가동 부위
에 말려 사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분진 추출장치나 수거장치의 조립이 가능한 경우,
u
이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제대로 작동이 되는지
확인하십시오. 이러한 분진 추출장치를 사용하면
분진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툴을 자주 사용한다고 해서 안주하는 일이 없게 하
u
고 공구의 안전 수칙을 무시하지 않도록 하십시오.
부주의하게 취급하여 순간적으로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전동공구의 올바른 사용과 취급
기기를 과부하 상태에서 사용하지 마십시오. 작업
u
할 때 이에 적당한 전동공구를 사용하십시오. 알맞
은 전동공구를 사용하면 지정된 성능 한도 내에서
더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전원 스위치가 고장 난 전동공구를 사용하지 마십
u
시오. 전원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 전동공구는 위
험하므로, 반드시 수리를 해야 합니다.
전동공구를 조정하거나 액세서리 부품 교환 혹은
u
공구를 보관할 때, 항상 전원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미리 빼어 놓거나 배터리를 분리하십시오. 이러한
조치는 실수로 전동공구가 작동하게 되는 것을 예
방합니다.
사용하지 않는 전동공구는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u
곳에 보관하고, 전동공구 사용에 익숙지 않거나 이
사용 설명서를 읽지 않은 사람은 기기를 사용해서
는 안됩니다. 경험이 없는 사람이 전동공구를 사용
하면 위험합니다.
전동공구 및 액세서리를 조심스럽게 관리하십시
u
오. 가동 부위가 하자 없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지, 걸리는 부위가 있는지, 혹은 전동공구의 기능에
중요한 부품이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하십시오.
손상된 기기의 부품은 전동공구를 다시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수리를 맡기십시오. 제대로 관리하지
않은 전동공구의 경우 많은 사고를 유발합니다.
절단 공구를 날카롭고 깨끗하게 관리하십시오. 날
u
카로운 절단면이 있고 잘 관리된 절단공구는 걸리
는 경우가 드물고 조절하기도 쉽습니다.
전동공구, 액세서리, 장착하는 공구 등을 사용할
u
때, 이 지시 사항과 특별히 기종 별로 나와있는 사용
방법을 준수하십시오. 이때 작업 조건과 실시하려
는 작업 내용을 고려하십시오. 원래 사용 분야가 아
Bosch Power Tools
닌 다른 작업에 전동공구를 사용할 경우 위험한 상
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손잡이 및 잡는 면을 건조하게 유지하고, 오일 및 그
u
리스가 묻어 있지 않도록 깨끗하게 하십시오. 손잡
이 또는 잡는 면이 미끄러우면 예상치 못한 상황에
서 안전한 취급 및 제어가 어려워집니다.
서비스
전동공구 수리는 반드시 전문 인력에게 맡기고 , 수
u
리 정비 시 보쉬 순정 부품만을 사용하십시오. 그렇
게 함으로써 기기의 안전성을 오래 유지할 수 있습
니다.
둥근톱 안전 수칙
절단 작업
위험: 절단 영역 및 절단날에 손을 가까이 두지
u
마십시오. 다른 한 손은 보조 손잡이 또는 모터 하우
징을 잡으십시오. 양손으로 톱을 잡고 있으면, 절단
날에 손이 베일 염려가 없습니다.
가공물 아래쪽으로 손을 내밀지 마십시오. 가드를
u
사용해도 가공물 아래쪽에 있는 절단날로부터 보
호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가공물의 두께에 맞춰 절단 깊이를 조정하십시오.
u
모든 가공물에서 최대 깊이로 절단하면 안 됩니다.
절단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가공물을 절대 손으로
u
잡거나 다리에 닿지 않게 하십시오. 가공물을 작업
대에 안전하게 고정시키십시오. 신체 노출, 절단날
고착 또는 통제력 상실 등을 최소화하려면 가공물
을 단단히 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절단 공구가 숨겨진 배선 또는 코드를 접촉할 가능
u
성이 있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 전동공구의 절연된
손잡이 면만 잡으십시오. 전류가 흐르는 전선에 접
촉되면, 전동공구의 노출된 금속 부분에 전류가 흐
르는 상태가 되어 작업자가 감전될 수 있습니다.
켜는 작업을 할 때는 항상 립 펜스나 일자 가이드를
u
사용하십시오. 절단 작업의 정확도를 높이고, 톱날
이 고착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항상 주축 구멍의 크기와 모양(다이아몬드형 또는
u
원형)이 맞는 절단날을 사용하십시오. 절단날이 톱
에 장착된 장비와 맞지 않으면 중심을 벗어난 상태
로 작동되어 통제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
손상되거나 올바르지 않은 톱날 와셔나 볼트를 사
u
용해서는 안 됩니다. 톱날에 맞는 와셔와 볼트를 사
용해야 안전하고 최적화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킥백 현상의 원인 및 관련 경고사항
– 킥백(반동)이란 톱날이 꽉 끼이거나 고착되거나 어
긋나면서 생기는 갑작스런 반작용을 의미하며, 반동
이 생기면 통제력을 잃고 톱이 들어 올려지면서 가공
물을 벗어나 작업자를 향할 수 있습니다.
– 작업이 중단된 절단 자국에 톱날이 꽉 끼이거나 고
착되면, 톱날이 멈추고 모터 반응으로 인해 장비가 갑
자기 작업자를 향해 뒤쪽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 톱날이 절단 부위에서 비틀리거나 어긋나면, 톱날 뒤
쪽 모서리에 있는 톱니가 목재 표면 상단을 파고 들어
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톱날이 절단 자국을 타고 내
려가서 작업자쪽으로 튀어 오를 수 있습니다.
한국어 | 47
1 609 92A 4DJ | (19.09.2018)

Advertisement

Table of Contents
loading

This manual is also suitable for:

Professional gks 600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