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stool TS 55 FEBQ Original Instructions Manual page 8

Hide thumbs Also See for TS 55 FEBQ:
Table of Contents

Advertisement

한국어
가공물 아래쪽에 손을 대지 마십시오. 아래
쪽은 보호 커버로 톱날이 보호되지 않습니
다.
가공물 두께에 맞춰서 절단 깊이를 변경하십
시오. 가공물 아래로 톱니 하나보다 작은 높
이가 보여야 합니다.
절단할 가공물을 절대로 손 안이나 다리 위
로 고정하지 마십시오. 안정적인 마운트에
가공물을 고정하십시오. 가공물을 올바르게
고정하는 것은 신체 접촉, 톱날 끼임 또는 제
어력 상실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요합
니다.
작업할 때 눈에 보이지 않는 전기 케이블이
나 연결선에 공구 비트가 닿을 가능성이 있
을 경우 전동 공구는 절연된 손잡이 면으로
만 잡으십시오. 전압이 흐르는 전선과 접촉
하면 전동 공구의 금속 부품에도 전압이 흘
러서 감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길이 절단 시 반드시 스톱 장치나 직선 엣지
가이드를 사용하십시오. 절단 정확성을 높이
고 톱날 끼임의 위험을 줄여줍니다.
항상 올바른 사이즈와 연결홀(예: 마름모형
또는 원형)에 맞는 톱날을 사용하십시오. 톱
의 장착 부품에 맞지 않은 톱날은 불안정하
게 작동하여 통제력을 잃게 만듭니다.
손상되었거나 적합하지 않은, 톱날 클램핑
플랜지나 클램핑 나사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톱날 클램핑 플랜지와 클램핑 나사는 공구에
따라 최적의 성능과 작업 안전을 위해 특수
설계되었습니다.
킥백 – 발생 원인 및 해당 안전 수칙
킥백은 톱날이 걸리거나 끼이거나 방향이 잘
못되었을 때 나타나는 갑작스러운 반응이며,
제어되지 않은 톱이 들어올려지면서 가공물
에서 벗어나 작업자 쪽으로 향합니다
좁아진 톱 간극에 톱이 걸리거나 끼이면, 막
힘이 발생하면서 구동력에 의해 기기가 작업
자 쪽으로 반동됩니다.
절단선의 톱날이 뒤틀리거나 잘못 정렬되면,
톱날의 뒤쪽 톱니가 가공물 표면에 걸리면서
톱날이 톱 간극을 벗어나 작업자 쪽으로 향
하게 됩니다.
톱을 잘못된 방법으로 또는 미숙하게 사용하는
경우에 킥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다음 방법으로
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양손으로 단단히 공구를 잡고, 반동력을 막
을 수 있는 위치에 팔을 두십시오. 톱날은 반
드시 작업자의 측면에 있어야 하고, 절대로
작업자의 신체와 일직선으로 두어서는 안 됩
니다. 킥백 현상이 발생한 경우 톱이 뒤로 튈
수 있지만, 적절한 조치를 취하면 작업자가
반동력을 막을 수 있습니다.
톱날 끼임이나 작업 중단이 발생했을 때는
ON/OFF 스위치를 해제하고, 톱날이 정지할
8
때까지 톱을 가공물 안에 그대로 두십시오.
톱날이 움직이는 동안은 절대로 톱을 가공물
에서 제거하려고 하거나 뒤로 빼내려고 해서
는 안 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킥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톱날 끼임이 발생하는 원인을
조사하고 해결하십시오.
가공물에 끼인 톱을 다시 시작하고자 할 때
는 톱 간극에 있는 톱날의 중심을 조절해서
톱니가 가공물에 끼이지 않도록 하십시오.
톱날이 끼인 상태에서 톱 작업을 다시 시작
하면 톱날이 가공물 밖으로 나오거나 킥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톱날 걸림으로 인해 킥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큰 패널에 지지대를 설치하십시오. 대형 패
널은 자체 중량 때문에 아래로 처지는 경향
이 있습니다. 판재의 경우 톱 간극 주변과 가
장자리 양측을 모두 지지해 주어야 합니다.
무디거나 손상된 톱날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무디거나 정렬이 잘못된 톱니는 좁은 톱 간
극으로 인해 마모 증가, 톱날 끼임 및 킥백을
유발합니다.
절단 작업 전에 절단 깊이 및 각도 조절장치
를 고정하십시오. 절단 작업 중에 조절 장치
가 변경되면 톱날 끼임이나 킥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벽 또는 보이지 않는 영역에 "플런지 컷"을
할 경우에 각별히 주의하십시오. 절단 중에
플런지 컷 톱날이 숨어 있는 물체에 가로막
혀서 킥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보호 커버의 기능
가드를 사용할 때마다 가드가 올바르게 닫히
는지 확인하십시오. 가드가 제대로 움직이지
않거나 톱날을 신속하게 감싸지 않으면 톱을
작동시키지 마십시오. 톱날이 노출되도록 가
드를 클램핑 하거나 묶지 마십시오. 톱이 아
래로 떨어지면 가드가 휘어질 수 있습니다.
가드는 자유롭게 움직여야 하며, 커팅의 모
든 각도 및 깊이에서 톱날의 모든 부분과 접
촉하지 않아야 합니다.
보호 커버용 스프링의 상태 및 기능을 점검
하십시오. 보호 커버와 스프링에 문제가 있
을 경우 기기 사용 전에 정비하십시오. 손상
된 부분이 있거나 접착제가 남아 있거나 칩
이 쌓여 있으면 보호 커버가 제대로 작동하
지 않습니다.
직각이 아닌 각도로 "플런지 컷"을 진행할 때
는 톱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이동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측면으로 이동하면 톱날 끼임
으로 인해서 킥백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
다.
보호 커버가 톱날을 덮지 않은 상태에서 워
크벤치나 바닥 위에 톱을 내려놓지 마십시
오. 아직 멈추지 상태로 노출된 톱날은 톱을
절단 방향 반대로 움직이면서 앞에 놓인 것

Advertisement

Table of Contents
loading

This manual is also suitable for:

576709

Table of Contents